반응형

2025년, 정부는 다양한 계층을 위한 지원 정책을 강화하여 국민들의 삶의 질 향상과 경제적 부담 완화를 목표로 하고 있습니다. 이번 글에서는 청년, 여성, 부모, 저소득층, 소상공인 등을 위한 주요 지원금과 보조금 정보를 상세히 정리하였습니다. 각 항목별로 신청 조건, 지원 내용, 신청 방법 등을 안내하오니, 해당되는 지원금을 놓치지 마시고 적극 활용하시기 바랍니다.
1. 청년 지원 정책
1.1 청년 일경험 지원사업

- 신청 조건
- 만 15세 이상 ~ 34세 이하의 청년
- 고용보험 미가입 상태이거나 미취업 상태인 자
- 대학교(전문대 포함) 재학 또는 졸업 후 2년 이내자 우선 선발
- 참여 제한 사유(과거 유사 지원 중도 포기 등)가 없어야 함
1.2 청년도약계좌

- 신청 조건
- 만 19세 이상 34세 이하
- 연 소득 7,500만 원 이하
- 총 재산 3억 6천만 원 이하
- 근로·사업소득이 있는 청년 (프리랜서, 플랫폼 노동자 포함)
- 기존 청년희망적금 중복 가입자는 신청 불가
2. 여성 및 경력단절 여성 지원
2.1 경력단절 여성 지원금
- 신청 조건
- 출산·육아·가족돌봄 등으로 퇴사한 이후 재취업을 희망하는 여성
- 고용보험 미가입 상태였던 기간이 일정 이상(통상 1년 이상)일 것
- 재취업 의사가 명확하며, 취업활동계획서를 제출할 수 있어야 함
- 일부 사업은 특정 지역 거주자 우선 선발
2.2 여성기업육성사업
- 신청 조건
- 대표자가 여성인 법인 또는 개인사업자
- 여성 예비창업자는 사업자 등록 전 단계에서도 신청 가능
- 신청일 기준으로 정부 보조사업에 중복 참여 중이지 않아야 함
- 창업 관련 교육 이수 실적이 있으면 가점
3. 부모 및 아동 지원
3.1 부모급여 및 가정양육수당

- 신청 조건
- 대한민국 국적의 0~1세 영아를 양육 중인 가정
- 영아가 어린이집(보육시설)에 다니지 않을 경우 가정양육수당 지급
- 출생신고 완료 및 주민등록이 되어 있어야 함
- 부·모 또는 양육자가 국내 거주 중일 것
3.2 첫만남이용권
- 신청 조건
- 2022년 1월 1일 이후 출생한 아동
- 아동의 주민등록이 완료된 상태
- 보호자가 정부의 ‘양육수당’ 또는 ‘보육료’를 신청하지 않았을 경우에도 별도 신청 가능
4. 저소득층 및 취약계층 지원
4.1 근로·자녀장려금
- 신청 조건
- 근로소득 또는 사업소득이 있는 가구
- 가구 유형별 연 소득 기준:
- 단독가구: 2,200만 원 이하
- 홑벌이 가구: 3,200만 원 이하
- 맞벌이 가구: 4,400만 원 이하
- 재산 총액 2억 원 이하 (주택, 예금, 자동차 등 포함)
- 자녀장려금은 18세 미만 부양자녀가 있어야 함
4.2 자활성공지원금
- 신청 조건
- 기초생활보장수급자 또는 차상위계층 중 자활근로사업에 6개월 이상 참여한 자
- 자활근로 종료 후 6개월 이내에 일반 취업 또는 창업에 성공한 경우
- 자활사업 참여 중 출석률 등 일정 기준 충족 필수
5. 소상공인 지원
5.1 배달·택배비 지원
- 신청 조건
- 연 매출 1억 4천만 원 이하인 소상공인
- 온라인 판매 채널(자사몰, 배달앱 등)을 통한 택배 이용 실적이 있는 경우
- 사업자등록 후 6개월 이상 영업 중인 업체
- 동일 주소지 내 복수 사업자 중복 신청 불가
5.2 전기요금 지원
- 신청 조건
- 소상공인 중 매출이 일정 기준 이하이고 사업장 전기요금 고지서를 소지한 자
- 월 평균 사용량 또는 요금 기준 이하일 경우 우선 지원
- 휴업 또는 폐업 상태가 아닌 사업체
5.3 노란우산공제 세액공제
- 신청 조건
- 사업자등록을 마친 개인사업자 또는 법인 소상공인 대표
- 공제계좌에 월 5만 원 이상 납입
- 사업장 소득이 일정 수준 이하일 경우 세액공제 최대 500만 원까지 가능
- 폐업·사망·노령 등 사유 발생 시 공제금 수령 가능
6. 전기차 보조금
6.1 전기차 구매 보조금

- 신청 조건
- 대한민국 국적의 만 18세 이상 운전면허 소지자
- 보조금 신청일 기준 최근 2년 내 동일 보조금 수령 이력이 없는 자
- 구매 희망 차량이 정부 보조금 대상 리스트에 포함되어야 함
- 차종별 보조금 한도 및 보급 대수 소진 여부에 따라 달라질 수 있음
6.2 추가 보조금 조건 (가점)
- 청년 가구: 만 19세~34세로 생애 첫 전기차 구매 시 추가 지원
- 다자녀 가구: 만 18세 이하 자녀가 2명 이상일 경우 가점
- 저소득층: 차상위 이하 계층 증빙 시 보조금의 20% 추가
위의 지원 정책들은 2025년 현재 시행 중인 내용으로, 각 정책의 신청 기간 및 상세 조건은 해당 기관의 공식 홈페이지를 통해 확인하시는 것이 좋습니다. 또한, 지역별로 추가 지원이 있을 수 있으므로 거주하시는 지자체의 공고도 참고하시기 바랍니다.
'004. 잡동사니(Bits and Pieces)' 카테고리의 다른 글
[2025년 최신] 구글 애드센스 수익금 인출방법 총정리(feat. 실제 인출정보 포함!) (0) | 2025.04.22 |
---|---|
[MacBook] 맥북 바꿀 때 꼭 알아야 할 데이터 및 앱 이전 방법 총정리 (2025년 기준) (0) | 2025.04.15 |
[AI 스마트폰] 갤럭시 AI vs 아이폰 AI: 2025년 스마트폰 인공지능 비교 분석 (1) | 2025.04.10 |
[맥북] M1 vs M3 vs M4 맥북에어 성능 비교: 지금 사야 할 맥북은? (0) | 2025.04.03 |
[약국 연고] 상처와 피부 고민별 추천 연고 총정리! [feat. 꼭 챙겨야 할 연고 리스트] (0) | 2025.03.24 |