반응형

002. 기술사(P.E.) Note 92

[BESS] 사우디아라비아, 재생에너지 확대를 위한 BESS 사업 박차(feat. 개발사업정보, BESS 사업 특징 포함!)

안녕하세요, 블로그 주인장 민(Min) 입니다. 이번 포스팅에서는 사우디아라비아에서 추진중인 BESS사업에 대한 이야기를 나눠보고자 합니다. 사우디아라비아가 'Vision 2030' 계획에 따라 재생에너지 발전 비중을 50%까지 확대하기 위한 노력의 일환으로 BESS(Battery Energy Storage System) 사업에 박차를 가하고 있습니다. 최근 사우디 전력 조달 회사(SPPC)는 2,000MW/8,000MWh 용량의 BESS 구축 프로젝트를 발주했으며, 이는 사우디아라비아의 재생에너지 목표 달성을 위한 중요한 단계로 평가됩니다. https://carboncredits.com/byd-and-saudi-arabia-tandem-for-worlds-largest-battery-energy-sto..

[BESS] 주파수 조정용 ESS 운영: 중요성, 고장 조치, 유지보수/예비품 교체

1. 서론전력 계통의 안정성을 확보하기 위해 주파수 조정용 ESS(Energy Storage System)의 역할이 점점 더 중요해지고 있습니다. ESS는 전력을 저장했다가 필요할 때 공급하여 주파수 변동을 제어하고, 전력 품질을 유지하는 데 기여합니다. 하지만 ESS는 복잡한 시스템으로, 효율적인 운영 및 관리가 필수적입니다. 이 글에서는 주파수 조정용 ESS 운영 시 중요하게 다루어야 할 점, 고장 시 조치 방법, 그리고 유지보수/예비품 교체 내용을 자세히 살펴보겠습니다. 2. ESS 운영의 중요성ESS는 전력 계통의 안정성과 효율성을 높이는 데 중요한 역할을 합니다. 주파수 조정용 ESS는 실시간으로 주파수 변동을 감지하고, 배터리의 충방전을 통해 주파수를 안정화시키는 역할을 합니다. 이는 발전소의..

[전력] NMC vs LFP 배터리: 전기차 시장의 두 거인 격돌!

전기차 시장이 급성장하면서 배터리 기술에 대한 관심도 뜨겁습니다. 특히, NMC(니켈·망간·코발트) 배터리와 LFP(리튬·인산·철) 배터리는 각자의 장단점을 가지고 시장 주도권을 놓고 치열하게 경쟁하고 있습니다. 오늘은 이 두 배터리의 특징과 현재 글로벌 시장 상황에 대해 자세히 알아보겠습니다. 1. NMC 배터리: 높은 에너지 밀도 특성NMC 배터리는 니켈, 망간, 코발트를 양극재로 사용하는 배터리입니다. 높은 에너지 밀도를 가지고 있어 한 번 충전으로 더 긴 거리를 주행할 수 있다는 장점이 있습니다.장점:높은 에너지 밀도: LFP 배터리보다 더 작고 가벼워 전기차 주행거리 향상에 유리합니다.뛰어난 성능: 높은 출력과 빠른 충전 속도를 제공합니다.단점:높은 가격: 코발트와 같은 원자재 가격이 비싸 생산..

[전력] HVDC 송전 방식: Bipole vs. Symmetrical Monopole 심층 비교

HVDC (High Voltage Direct Current) 송전은 장거리 대용량 전력 전송에 효율적인 기술로, Bipole과 Symmetrical Monopole은 그 대표적인 방식입니다. 두 방식 모두 장단점을 가지고 있으며, 상황에 따라 적합한 방식이 다릅니다. 이 글에서는 Bipole과 Symmetrical Monopole의 특징을 비교 분석하여 HVDC 시스템 구축에 대한 이해를 돕고자 합니다. 1. Bipole HVDCBipole HVDC는 두 개의 컨버터 스테이션을 사용하여 양극(+)과 음극(-)의 두 개의 도체로 전력을 전송하는 방식입니다.장점:높은 신뢰성: 하나의 극에 고장이 발생하더라도 나머지 극을 사용하여 전력 전송이 가능합니다.유연한 운영: 각 극을 독립적으로 제어하여 전력 흐름을..

[원자력] 소형모듈원자로(SMR) 시장의 현재와 미래 전망: 주요 기업들의 프로젝트 분석 (투자 그리고 현황 분석 관점에서!)

소형모듈원자로(Small Modular Reactor, SMR)는 전 세계 에너지 산업에서 주목받는 차세대 원자력 기술로, 그 시장 규모는 급격히 확대되고 있습니다. SMR은 기존 대형 원전 대비 소형화된 설계로, 안전성, 경제성, 유연성을 갖추고 있어 다양한 용도로 활용이 가능합니다. 이러한 장점으로 인해 여러 국가와 기업들이 SMR 개발에 적극 참여하고 있으며, 향후 시장 전망도 밝게 평가되고 있습니다. 주요 기업들의 SMR 프로젝트 현황 1. 뉴스케일 파워(NuScale Power) 미국의 뉴스케일 파워는 SMR 분야에서 선두주자로 꼽히며, 77MW급 모듈형 원자로를 개발 중입니다. 이들은 미국 아이다호주에 위치한 카본 프리 파워 프로젝트(Carbon Free Power Project, CFPP)를..

[에너지] IRENA의 2024 에너지 전환 전망: 1.5°C 목표 달성을 위한 로드맵 (주요 내용 요약 및 분석!)

기후 변화 대응과 지속 가능한 미래를 위한 에너지 전환이 점차 중요해지고 있습니다. 국제재생에너지기구(IRENA)가 최근 발표한 “2024 세계 에너지 전환 전망 보고서(World Energy Transitions Outlook 2024)”는 1.5°C 목표를 달성하기 위한 구체적인 로드맵을 제시하며, 글로벌 에너지 시스템의 전환 가속화를 강조합니다. 이 블로그에서는 보고서의 주요 내용을 정리하고, 에너지 전환을 위한 주요 도전과 기회를 살펴보겠습니다.1. 1.5°C 목표 달성: 지금 행동해야 할 시점 IRENA의 보고서는 2050년까지 글로벌 에너지 시스템의 탄소 배출을 넷제로(Net Zero)로 줄이기 위한 기술적, 경제적 가능성을 제시합니다. 하지만 현재의 정책과 계획은 목표 달성을 위한 궤도에 미..

[전기 요금] 알기 쉽게 풀어보는 전기요금 원가 구조: 전기료는 어떻게 결정될까?

전기는 일상생활에서 없어서는 안 될 필수적인 자원입니다. 하지만 많은 국민들이 전기요금이 어떻게 산정되는지 정확히 이해하기 어렵다고 느낍니다. 이번 포스팅에서는 전기요금 원가 구조와 그 산정 방식에 대해 이해하기 쉽게 설명드리겠습니다. 이 내용을 통해 전기요금의 구성 요소와 원가가 결정되는 과정을 살펴보며, 전기 요금이 왜 인상되는지 또는 인하될 수 있는지를 이해해보도록 하겠습니다. 1. 전기요금 원가 공개의 배경 한국전력공사에서 전기요금 원가를 공개하는 이유는 국민들이 전기요금이 어떻게 산정되고, 어떤 비용이 포함되는지 투명하게 알 수 있도록 하기 위함입니다. 공공요금의 원가를 공개함으로써 공공기관이 비용을 절감하려는 노력을 기울이도록 유도하며, 요금 산정의 투명성과 신뢰성을 높이는 데 목적이 있습니다..

[전기/전력 분야] 2024년 10월 전력계통 토론회 요약: 안정적인 전력 공급을 위한 국내외 대응 방안

안녕하세요 민(Min) 입니다. 오랜만에 전기/전력 분야 글을 하나 작성합니다. 최근 이슈가 되고 있는 전력계통 이슈에 대한 내용인데요. 이 내용이 여러분의 이해에 도움이 되길 바라며, 전달 드립니다. 최근 진행된 전력계통 이슈 공감 온라인 토론회에서는 전력계통의 주요 이슈와 이를 안정적으로 운영하기 위한 다양한 방안들이 논의되었습니다. 전력 공급의 안정성과 효율성을 높이기 위해 필요한 신뢰도 기준, 발전제약 문제, 해외 사례, 그리고 발전설비와 송전선로에 대한 대응 전략 등이 중점적으로 다뤄졌습니다. 이번 글에서는 이번 토론회의 주요 내용을 요약하여, 전력계통 운영의 핵심 이슈들을 이해하는 데 도움이 되고자 합니다. 1. 전력계통 운영 신뢰도 기준 전력계통의 신뢰도는 국민 생활과 국가 산업 전반에 미치..

[신재생] 발전 사업자가 신재생 에너지를 판매하는 방법 그리고 그린 수소 생산을 위한 절차 및 구조

안녕하세요 여러분 민(MIN) 입니다. 이번 포스팅에서는 [발전 사업자가 신재생 에너지를 판매하는 방법 그리고 그린 수소 생산을 위한 절차 및 구조]에 대한 이야기를 나눠보고자 합니다.   1. 발전 사업자가 신재생 에너지를 판매하려면? 발전 사업자가 신재생 에너지를 판매하는 구조는 일반적으로 전력거래소(KPX)를 통한 전력 거래와 신재생에너지 공급인증서(REC) 거래로 나뉩니다. 기본적인 구조는 다음과 같습니다:  판매 구조 요약:1. 발전소 설비 투자 및 설치: 신재생 에너지 발전소(태양광, 풍력 등)가 설치되면, 발전사업자는 전력거래소와 계약을 통해 전력 시장에 참여하게 됩니다.   2. 전력 생산 및 거래소(KPX) 납품: 신재생 에너지 발전소가 전력을 생산하면, 이 전력은 전력거래소(KPX)에 ..

[전력] 오스트리아 전력망에 대한 전반적인 개요(전압레벨, 전력망 정보 포함!)

안녕하세요 여러분 민(Min) 입니다. 이번 포스팅에서는 ([전력] 오스트리아 전력망에 대한 전문적인 개요)에 대한 주제로 여러분들과 공유하고자 합니다. 오스트리아는 유럽 중부에 위치한 국가로, 높은 수준의 에너지 효율성과 안정적인 전력망을 자랑합니다. 오스트리아의 전력망은 다양한 전압 레벨과 긴 송전선로, 합리적인 전기 요금 체계로 구성되어 있습니다. 이번 블로그 글에서는 오스트리아 전력망의 전압 레벨, 송전선로 길이, 전기 요금 등을 자세히 살펴보겠습니다. 전압 레벨오스트리아의 전력망은 고압, 중압, 저압으로 구성되어 있으며, 주요 전압 레벨은 다음과 같습니다:- 초고압 (EHV): 380 kV- 고압 (HV): 220 kV- 중압 (MV): 110 kV, 30 kV, 20 kV- 저압 (LV): 4..

[전기] 2024년 전력회사들이 직면한 가장 큰 과제 (8가지 이슈 분석 자료)

2024년을 맞이하면서 전 세계 전력 회사들은 에너지 환경을 재편하는 수많은 과제에 직면해 있습니다. 이러한 과제는 기술 발전, 환경 문제, 규제 변화, 소비자 기대치의 변화 등 다면적입니다. 여기서는 전력 회사들이 2024년에 헤쳐 나가야 할 가장 중요한 문제를 살펴보겠습니다.1. 재생 에너지로의 전환가장 중요한 과제 중 하나는 화석 연료에서 재생 에너지원으로의 전환입니다. 전 세계 정부와 기관은 탄소 배출을 줄이고 기후 변화에 대처하기 위한 야심 찬 목표를 설정하고 있습니다. 전력 회사의 경우 이는 다음을 의미합니다.• 인프라 업그레이드: 태양광 및 풍력 발전소와 같은 재생 에너지 발전을 지원하기 위한 새로운 인프라에 대한 상당한 투자.• 그리드 통합: 재생 에너지원을 기존 그리드에 통합하여 재생 에..

Analysis and Insights on South Korea’s 11th Basic Plan for Electricity Supply and Demand (2024-2038)

South Korea’s energy landscape is set to undergo significant transformations with the introduction of the 11th Basic Plan for Electricity Supply and Demand, covering the period from 2024 to 2038. This comprehensive plan outlines the strategic direction for the nation’s energy policy, focusing on increasing the share of carbon-free energy sources, enhancing energy security, and meeting environmen..

[에너지] 국가별 CO2 배출 가격: 탄소 배출에 대한 최신 동향

안녕하세요 여러분 민(Min) 입니다. 이번 포스팅에서는 [국가별 CO2 배출 가격: 탄소 배출에 대한 최신 동향]에 대한 주제로 여러분들과 공유하고자 합니다. 최근 기후 변화와 환경 문제에 대한 관심이 높아지면서, 전 세계적으로 CO2 배출에 대한 규제와 가격 정책이 강화되고 있습니다. 각국은 탄소세와 배출권 거래제도(ETS)를 통해 CO2 배출을 관리하고 있으며, 이러한 시스템의 목적은 기업들이 온실가스 배출을 줄이고 더 친환경적인 기술과 연료로 전환하도록 유도하는 것입니다. 이번 포스팅에서는 주요 국가별 CO2 배출 가격과 그 특징을 살펴보겠습니다.  2024년 주요 국가별 CO2 배출 가격 현황 1. 유럽 연합 (EU)유럽 연합은 가장 강력한 탄소 규제 시스템 중 하나를 운영하고 있습니다. EU의..

[전력] IEC 61850을 활용한 디지털 변전소 자동화 시스템 개요 및 구성

안녕하세요 여러분 민(Min) 입니다. 이번 포스팅에서는 [IEC 61850을 활용한 디지털 변전소 자동화 시스템 개요 및 구성]에 대한 주제로 여러분들과 공유하고자 합니다.  디지털 변전소 자동화 시스템(Digital Substation Automation System, DSAS)은 IEC 61850 표준을 기반으로 구축됩니다. IEC 61850은 변전소 자동화 및 관련 시스템의 통신과 상호 운용성을 위해 개발된 국제 표준입니다. 이 표준은 변전소 내 장치 간의 통신을 표준화하고, 디지털 보호 및 제어 시스템의 설계 및 구현을 용이하게 합니다. ### 디지털 변전소 자동화 시스템(DSAS)의 개요디지털 변전소는 기존의 아날로그 시스템 대신 디지털 통신 및 장치를 사용하여 전력 시스템의 보호, 제어 및 ..

[PandaPower_Python] 3-bus system 해석 및 결과에 대한 피드백

안녕하세요 여러분 민(Min) 입니다, 최근 제가 Python을 활용한 연구를 공부하던 중 가장 기본이 되는 3Bus System에 대한 분석자료를 아래와 같이 공유드립니다.  계통 구성전력 계통 구성 요소 설명  1. Grid Connection (그리드 연결) • Voltage (전압): 1.02 pu (퍼 유닛) • 설명: 전력 계통이 외부 그리드와 연결되는 지점을 의미합니다. 퍼 유닛 시스템에서 1.02 pu는 기준 전압 대비 1.02배임을 나타냅니다. 2. Voltage Level (전압 수준) • 20kV (킬로볼트): 상위 전압 수준을 나타냅니다. • 400V (볼트): 하위 전압 수준을 나타냅니다. 3. Transformer (변압기) • Transformer Ratio (변압기 비율): ..

[산업단지] 제조업 Thermal/Electric Load에 대한 분석

안녕하세요 여러분 민(Min) 입니다. 이번 포스팅에서는 제조업의 Thermal/Electric Load에 대한 분석이라는 주제로 포스팅을 작성하고자 합니다.  제조 부문의 전기 부하와 열 부하 간의 비율은 제조 공정 유형, 기후 및 시설의 특정 에너지 요구 사항에 따라 크게 달라질 수 있습니다. 그러나 일반적인 통찰력과 일반적인 비율은 업계 표준 및 연구를 기반으로 제공될 수 있습니다. ### 제조업 일반적인 전력/열 부하 비율1. **일반 제조**: - **전기 부하**: 기계, 조명, HVAC 시스템, 사무 장비에 사용됩니다. - **열부하**: 공정난방, 냉방, 공간난방, 물난방에 사용됩니다. - **일반적인 비율**: 1:1 ~ 1.5:1(전기:열) 이는 모든 전기 부하 단위에 대해 대략 1~1..

[Net-Zero] Grid-connected vs Isolated 형태의 Microgrid 비교/분석

안녕하세요 여러분 민(Min) 입니다. 이번 포스팅의 내용은 Grid-connected vs Isolated 형태의 Microgrid Simulation에 대한 내용입니다.  산업단지의 Net-Zero 목표를 위한 연구를 진행하는 경우, grid-connected 형태의 시뮬레이션과 isolated (독립형) 형태의 시뮬레이션 중 어느 것을 선택해야 하는지는 연구의 목적과 상황에 따라 달라집니다. 각 형태의 시뮬레이션은 서로 다른 장단점을 가지고 있으며, 이를 잘 이해한 후 선택하는 것이 중요합니다.### Grid-Connected 형태의 시뮬레이션#### 장점:1. **안정성**: 전력망에 연결되어 있어 필요할 때 전력을 공급받거나 남는 전력을 전력망에 판매할 수 있습니다.2. **경제성**: 전력망에..

[Daily Load Profile] kWh vs kw의 의미 분석

산업단지의 daily load profile (하루 동안의 부하 프로파일) 데이터가 kWh 단위로 제공되는 경우, 이를 활용하여 peak load (최대 부하, kW)와 daily load profile (kW 단위의 일일 부하 프로파일)을 계산할 수 있습니다. 다음은 그 방법입니다.1. **데이터의 이해:**   - daily load profile 데이터가 24시간 동안의 kWh로 주어진 경우, 이는 시간당 에너지 소비량을 나타냅니다.   - 예를 들어, 각 시간대별 kWh 값이 주어진다면, 이는 시간당 소비된 전력량입니다.2. **Daily Load Profile (kW) 계산:**   - 각 시간대의 kWh 값을 kW로 변환하려면, 단순히 시간으로 나눕니다. 시간당 소비된 kWh는 곧 시간당 소비..

[수소] Green Hydrogen System 개념 그리고 시스템 구성 분석

안녕하세요 여러분 민(Min) 입니다. 최근 탈탄소/Net-Zero가 강조되면서 Green Hydrogen System에 대한 이슈가 에너지/전력계 에서 붉어지고 있습니다. 이번 포스팅에서는 Green Hydrogen System에 대한 자세한 내용에 대하여 다뤄보고자 합니다. 몇 가지 구체적인 세부 사항을 포함하여 Green Hydrogen System에 대해 자세히 살펴보겠습니다. **전기분해 과정:*** 전기분해는 그린수소 생산의 핵심기술입니다. 이는 전기를 사용하여 물(H2O)을 구성 요소인 수소(H2)와 산소(O2)로 분리합니다.* **전해조 유형:** 녹색 수소 생산에 사용되는 전해조에는 두 가지 주요 유형이 있습니다. * **양성자 교환막(PEM) 전해조:** 이는 효율성, 소형 크기, 태양..

[전력] Sector Coupling의 개념이 Decarbonization 그리고 Net-Zero에 미치는 영향

여러분 안녕하세요 민(Min) 입니다. 이번 포스팅에서는 Seoctor Coupling 개념이 Decarbonization 그리고 Net-Zero에 미치는 영향에 대한 포스팅을 작성해보고자 합니다.  Sector Coupling은 에너지 시스템 전체를 살펴봄으로써 탈탄소화를 목표로 하는 새로운 개념입니다. 전통적으로 전기, 냉난방, 운송, 산업 공정은 상당히 독립적으로 작동해 왔습니다. Sector Coupling은 이러한 사일로를 해체하고 이러한 섹터를 상호 연결할 것을 제안하는 것이 일반적입니다.Sector Coupling의 핵심 아이디어는 다음과 같습니다.* 우리는 풍력이나 태양광 같은 재생 가능 에너지원에 점점 더 의존하고 있지만 이는 가변적입니다. 필요할 때 항상 전력을 생산하지는 않습니다.* ..

반응형