반응형

전기 이슈(Electricity Issues) 15

Siemens Energy, General Electric(GE) & Hitachi Energy 기업 분석 개요 (주식 가격, CEO & 영업 영역 등)

안녕하세요 여러분 민(Min) 입니다. 이번 포스팅에서는 Siemens Energy, General Electric(GE) 및 Hitachi Energy등 대표적인 에너지 기업들에 대한 분석을 진행해보고자 합니다. 그럼, 지금부터 기업 분석을 시작합니다. #### 지멘스 에너지 - **CEO**: 크리스티안 브루흐 - **본사**: 독일 뮌헨 - **수익**: 2022년 320억 유로 - **운영 분야**: Siemens Energy는 재생 에너지, 전력 및 열 생산, 송전, 석유 및 가스 산업 서비스 등 에너지 환경 내 다양한 부문에서 운영됩니다. 특히 그들은 풍력 발전 분야의 주요 기업인 Siemens Gamesa를 소유하고 있습니다. - **주가 동향**: Siemens Energy는 Siemens..

[전력] 독일과 한국의 전력시스템 비교 분석(전압레벨, 주파수 등)

안녕하세요 여러분 민(Min) 입니다. 이번 포스팅에서는 독일과 한국의 전력시스템을 비교해보고자 합니다. 우수한 전력시스템을 보유한 두 국가의 전력시스템은 어떻게 다른지 지금부터 출발하겠습니다. 독일과 한국의 전력 시스템을 비교하려면 전력망 구성, 전압, 주파수 및 전반적인 전력 인프라 설계를 조사해야 합니다. 두 나라 모두 고도로 발전되고 효율적인 전력 시스템을 보유하고 있지만, 그 구조와 운영 방식에는 뚜렷한 차이가 있습니다. ### 독일의 전력 시스템 독일의 전력 시스템은 높은 수준의 복잡성, 효율성 및 재생 가능 에너지원에 대한 강한 강조가 특징입니다. 이 나라는 풍력, 태양광, 바이오매스에서 생산되는 전력의 상당 부분을 보유하고 있어 보다 지속 가능한 에너지 시스템으로 전환하는 데 있어 선두 주..

[전력] 2024년 주목할만한 에너지(전력) 환경 변화 그리고 그 핵심 내용!!

여러분 안녕하세요 민(Min) 입니다. 이번 포스팅에서는 2024년 주목할만한 에너지(전력) 환경 변화 그리고 그 핵심 내용에 대한 이야기를 조금 나눠보고자 합니다. 1. 재생에너지 확장: 세계의 재생에너지 발전 용량은 전례 없는 속도로 확장되고 있습니다. 2023년 재생에너지 용량은 50% 증가해 거의 510기가와트(GW)에 이르렀고, 태양광 발전(PV)이 추가 용량의 3/4을 차지했습니다. 이러한 성장은 주로 중국, 유럽, 미국 및 브라질의 엄청난 증가에 의해 주도되었습니다. 전 세계 재생 가능 전력 용량은 2028년까지 7,300GW로 성장할 것으로 예상되며, 2025년 초에는 재생 에너지가 전 세계 최대 발전원으로서 석탄을 추월할 것으로 예상됩니다. 그러나 2030년까지 전 세계 용량을 3배로 늘..

[January 16, 2024] TBPELS News (including PE renewal fees increase)

Hi, this is Min and I am posting this to let you know about the changes in TBPEL policies based on January 16, 2024. Please find below and I hope this information will help you with your further research. 1. Governor Greg Abbott has appointed Robert Moreno and reappointed Ademola “Peter” Adejokun and Kiran Shah to the Texas Board of Professional Engineers and Land Surveyors for terms set to expi..

독일 전력 시스템(발전, 송전 및 배전) 구성 및 전압 레벨 분석

안녕하세요 여러분 민(Min) 입니다. 이번 포스팅에서는 독일 전력 시스템(발전, 송전 및 배전) 개요에 대한 이야기를 잠시 나눠보고자 합니다. 독일 전력시스템 개요를 기반으로 하여 확장하여 포스팅할 예정이니, 계속적인 방문과 관심을 갖고 봐주시길 바랍니다. 독일 전력 시스템은 발전, 송전, 배전의 세 가지 주요 구성 요소로 구성됩니다. 발전: 독일의 전력 발전은 주로 신재생 에너지원으로 이루어져 있습니다. 2023년 기준으로 재생에너지의 발전 비중은 59.3%로, 풍력(32%), 태양광(27%), 바이오매스(10%) 순입니다. 화력 발전은 40.7%로, 석탄(23%), 천연가스(17%), 석유(1%) 순입니다. 원자력 발전은 2022년까지 폐지되었습니다. 재생 에너지 발전비중이 상대적으로 높으며, 나머..

풍력 에너지, 미국 내 강한 성장세, 성능 향상 그리고 매력적 가격 선보여

안녕하세요 여러분, 민(Min) 입니다. 이번 포스팅에서는 풍력 에너지에 대한 현재 가격/경쟁력 에 대한 이야기를 나눠보고자 합니다. 최근 미국 에너지부(DOE)와 로렌스 버클리 국립 연구소(Berkeley Lab)가 공동으로 발표한 보고서에 따르면, 풍력 에너지는 미국에서 강한 성장세, 안정적인 성능, 매력적인 가격을 보이고 있습니다. 신규 프로젝트의 Levelized Cost가 1MWh당 약 30달러를 약간 넘는 수준으로, 풍력 에너지의 그리드 시스템, 건강, 기후 이익보다 비용이 훨씬 낮다고 버클리 Lab은 밝혔습니다. 이는 풍력에너지의 사용이 Grid System, Health and Climate 분야에서 큰 영향력을 행사하고 있다는 반증이기도 합니다. 매우 흥미로운 보고서의 내용이었습니다. 그..

한전, 전기요금인상 부재에 따른 부채 200조원 돌파 위기!

안녕하세요 여러분, 민(Min) 입니다. 이번 포스팅에서는 우리나라 대표 공기업인 한국전력공사에 대한 포스팅을 작성해보고자 합니다. 최근 국제 유가 상승 / 전기요금 인상 미흡에 따른 한국전력공사의 부채가 크게 오르고 있습니다. 쉽게 해석하면, 국제 유가 상승(전력생산원가)가 오르면 전기요금 인상이 이에 발맞추어 올려야 하는 것이 시장 논리이긴 하나 국민들의 편익/부담을 줄이기 위한 정부의 뜻은 이를 막고 있는 것이 현실입니다. 이를 토대로, 한국전력공사(한전)의 부채가 사상 처음으로 200조원을 넘었다고 합니다. 한전은 러시아-우크라이나 전쟁 등으로 국제 에너지 가격이 급등하면서 전기요금을 제대로 올리지 못해 막대한 손실을 보고 있다는 것이 전문가들의 분석입니다. 한전의 총부채는 2020년 말 132조..

Vestas, 148MW 캐나다 풍력 프로젝트 수주!

안녕하세요 여러분, 민(Min) 입니다. 이번 포스팅에서는 풍력 전문기업인 Vestas에 대한 이야기를 잠시 나눠보고자 합니다. 최근 Vestas는 148MW 대규모 풍력 프로젝트를 수주하였다고 합니다. 그 이야기를 아래와 같이 자세히 나눠보고자 합니다 Vestas, 캐나다 알버타주 Halkirk II 풍력 발전 프로젝트에 풍력 터빈 공급 프로젝트 수주! 글로벌 풍력 에너지 리더인 Vestas는 캐나다 알버타주 Halkirk II 풍력 발전 프로젝트에 31기의 V150-4.5MW 풍력 터빈을 공급하기로 계약했습니다. 이 프로젝트는 캐나다의 선도적인 통합 전력 회사인 Capital Power가 소유하고 있습니다. Halkirk II 풍력 발전 프로젝트는 알버타주 Paintearth에 있는 약 17,000에..

프랑스, 유럽 최대 전력 수출국으로 부상!

안녕하세요 여러분, 민(Min) 입니다. 이번 포스팅에서는 "프랑스, 유럽 최대 전력 수출국으로 부상!"의 제목으로 포스팅을 해보고자 합니다. 2023년 8월, Power Engineering International 기사에 따르면 프랑스는 이미 유럽 내 최대 전력 수출국이며, 그 뒤를 스웨덴이 차지할 것이라고 내다보았습니다. 반면, 독인은 전력수출국에서 수입국으로 전향할 것으로 예상되고 있습니다. 최근 기사와 별개로 작년(2022년) 데이터를 이용하여 분석한 자료를 아래와 같이 공유 드립니다. 2022년, 프랑스가 유럽 최대 전력 수출국으로 부상했습니다. 프랑스는 2022년 1분기 동안 13.5TWh의 전력을 수출해, 독일(12.9TWh)을 제치고 유럽에서 가장 많은 전력을 수출하는 국가가 되었습니다...

한국전력공사 및 SK E&S의 ESG 경영 전략

안녕하세요 여러분, 민(Min) 입니다. 이번 포스팅에서는 한국전력공사 및 SK E&S 두 에너지 기업의 ESG 경영 전략에 대한 내용을 좀 다루어 보고자 합니다. 앞서 언급한 두 회사는 국내에서 전력 에너지를 다루는 대표 기업입니다. 전기저널, 유혜영 기자의 내용을 참고하여 작성하였으니, 출처에 참고하시기 바랍니다. 한국전력공사와 SK E&S의 ESG 경영 전략 최근 산업계 전반에 핵심의제는 ESG(Environmental, Social, Governance)다. 시대적 흐름에 따라 전기업계에서도 ESG의 중요성이 강조되고 있다. 또한 전기산업의 향후 발전과도 ESG는 밀접하게 연결되어 있다. 전기업계의 대표 격인 한국전력공사(이하 한전)와 ESG 경영을 앞세우는 SK 등의 ESG 추진방향과 전략을 소..

SMR 다음 단계인 초소형 원자로 개발 본격 추진!

안녕하세요 여러분, 민(Min) 입니다. 이번 포스팅에서는 SMR (소형 원자로)의 다음 단계로 거론되는 초소형 원자로 개발에 대한 이야기를 해보고자 합니다. 초소형 원자로는 구축이 용이하고, 관리도 쉬워 차세대 분산 에너지로 각광을 받고 있습니다. 현재 미국이 개발을 주도하고 있으며, 한국도 점차 개발을 시작하고 있습니다. 현재 소형모듈원전(SMR)보다 훨씬 작은 규모의 개발이 원전 주요국을 중심으로 이루어 지고 있으며, 초소형 원자로는 규모가 큰 원전에 비하여 구축이 빠르고 관리가 쉬워 상대적으로 안정적이어서 차세대 분산전원으로 사용이 가능할 것으로 기대가 되고 있습니다. 최근, 미국, 일본 등 원전 개발 주요국들이 초소형원자로가 차세대 분산에너지원이 될 수 있다고 보고 개발에 적극적으로 나선 상황이..

탄소중립을 위한 여정, 원자력-신재생, 미래 전력망 주력전원으로서의 역할과 책임

안녕하세요 여러분, 민(Min) 입니다. 이번 포스팅은 조금 무거운 주제를 다루워 볼까 합니다. 지난 7월 12일(수)~15일(토)까지 진행하는 대한전기학회 하계 학술 대회에서 논의 된 사안이고, 향후 에너지 산업에서 중요하게 다루어질 주제 입니다. 전 세계가 탄소중립을 많이 외치는 현재 상황에서, 원자력-신재생, 미래 전력망 주력전원으로서의 역할과 책임에 대한 토론 내용에 대하여 여러분들과 공유하고, 제 생각까지 함께 나눠 보고자 합니다. 전력 산업 내 원자력, 신재생 그리고 기존 전력 산업 구조에 대한 콜라보레이션은 꼭 필요한 부분이고, 모든 국민들이 공감하는 부분이기도 합니다. 이번 좌담회에서는 전력분야를 담당하시는 산업부 전력정책관, 각 학회장님들을 포함한 많은 전문가들이 한데 모여 진행이 되었습..

괌, 태풍 마와르 정전 발생, 그 규모는?

여러분 안녕하세요, 민(Min) 입니다. 최근 Typhoon Mawar의 괌 강타로 대규모 정전의 사태가 발생하였습니다. 많은 주민들이 피해를 입었고, 기본적인 생활을 하는데 큰 영향을 미칠 것으로 예상됩니다. 조금 더 자세히 이 정전에 대하여 알아보고자 합니다. 먼저, 괌의 계통도 입니다. 괌 섬의 전력공급은 Guam Power Authorirty(GPA)에서 독접으로 공급을 하고 있으며, 현지의 Peak demand는 254MW 수준을 기록하고 있습니다. 약 170,000의 주민( 52,000 고객/세대)에게 전력이 공급되고 있는 샘이지요. 또한, 위의 사진자료에서 볼 수 있듯, 신재생과 기존 Conventional 발전기의 조합으로 현재 발생하는 부하에 전력공급을 하고 있음을 알 수 있습니다. 금번..

미 텍사스주 전력회사 종류 및 특징

Hi 여러분! 민쥔장 입니다. 이번 포스팅에서는 미 텍사스주 전력회사의 종류 및 각 회사의 특징을 간략하게 알아보고자 합니다. 최근 삼성전자가 미 텍사스주에 공장설립 계획을 발표하면서 크게 이슈가 되었죠? 반도체 공장 설립을 진행하려면, 이에 전기를 공급할 전력회사와의 계약이 필요하게 됩니다. 미국은 한국처럼 국가가 소유하는 전력회사(한국전력공사)가 아닌 민간 회사가 전력공급을 담당합니다. 그럼 지금부터 텍사스주에 있는 전력회사에 대하여 간략하게 말씀을 드리겠습니다. 총 5개 회사가 있으며, 그 이름을 먼저 말씀드리면 아래와 같습니다. Texas-new Mexico Power / Oncor Electricity / CenterPoint Energy / AEP North / AEP Central 위의 회사..

반응형